optional 2

[Spring] Optional의 활용: Repository, Service, 그리고 ResponseEntity의 역할

이전 글에서 스트림, 람다를 소개하면서 Optional 키워드도 같이 소개를 한적이 있었는데 설명이 많이 부족하여 다시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1. Repository 계층에서 Optional을 사용하는 이유Repository 계층은 데이터베이스와의 직접적인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값이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을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이유 1: null-safe 코드 작성Optional을 사용하면 null 반환 대신 Optional.empty()를 반환하여 null 처리를 강제합니다.이는 NullPointerException을 방지하고 호출자가 명시적으로 결과를 처리하게 만듭니다.이유 2: 값의 유무를 명확히 표현단일 객체를 반환하는 메서드에서 "값이 없을 수도 있음"을 명확히 알릴 수 있습니다.예를 들..

Spring 2024.12.06

자바에서의 Optional 사용법 및 NullPointerException 방지

NullPointerException(NPE)은 자바 개발자라면 한 번쯤 경험해본 대표적인 런타임 에러 중 하나입니다. 이 문제는 객체가 null인 상태에서 이를 참조하려 할 때 발생하며, 특히 복잡한 코드에서는 디버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바 8부터 제공된 Optional은 보다 안전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Optional의 개념, 사용법, 그리고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Optional이란 무엇인가?Optional은 자바의 java.util 패키지에 포함된 컨테이너 클래스로, 값이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는 상황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명시적으로 "값이 없을 수 있음"을 코드에 ..

IT 2024.11.19